한국직업능력개발원, “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 인적자원관리제도 도입, 민간부문 통합방안 마련돼야”
상태바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 인적자원관리제도 도입, 민간부문 통합방안 마련돼야”
  • 정동욱
  • 승인 2014.07.07 13: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KRIVET: 원장 박영범)에서는 지난 6월 27일(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대회의실에서 ‘능력중심사회 구축을 위한 일-교육·훈련-자격의 연계’를 주제로 제50차 인재개발(HRD) 정책포럼을 개최했다. 

최영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박사는 ‘국가역량체계의 노동시장 활용방안’을 주제로 국가역량체계(NQF, National Qualification Frame)의 추진배경, 개발목적, 구조, 활용방안, 향후과제 등에 대해 발표했다. 

국가역량체계의 주요 개발목적은 ▴자격제도에 대한 이해 증진 및 자격 간 중복방지 ▴교육과 노동시장 간 미스매치 축소 ▴교육훈련 전달방식 개혁 ▴국제적 인정과 노동이동성 향상 등이다. 

국가에서는 ‘능력중심 채용문화 확산’과 ‘평생학습체제 구축’ 등에, 교육훈련 분야에서는 ‘교육훈련 과정개편’ 및 ‘다양한 학습의 학력 인정’ 등에 각각 국가역량체계를 활용 할 수 있다. 

또한 고용주는 ‘직무능력 중심의 채용’과 ‘사업 내 자격 활성화’ 등에, 개인은 ‘평생능력개발 설계 기준’과 ‘전직’ 등에 각각 국가역량체계를 활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영렬 박사는 국가역량체계의 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과제로 ▴직무중심의 채용문화 확산 ▴국가역량체계 적용 매뉴얼 제공 ▴국가자격체계 관리 및 운영 시스템 구축 등을 제시했다. 

오계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박사는 ‘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 요구역량에 기초한 민간분야 적용사례 발굴’을 주제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의 학교 및 기업 적용사례를 소개하고, 민간부문의 국가직무능력표준 활용방안을 제시했다. 

신구대학교는 2009년부터 3년간 조경분야에서 국가직무능력표준을 기반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했다. 

일반적으로 조경관련 설계사무소는 4년제 대학 졸업자를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신구대학교 조경분야 교육과정을 이수한 졸업생 가운데 2명이 조경관련 설계사무소에 입사했다. 

부산광역시 소재 금속소재 단조물 제조업체인 현진소재(주)는 직원 채용과 경력개발 등에 국가직무능력표준을 활용하고 있다. 

현진소재(주)는 국가직무능력표준에 따라 채용 체크리스트와 훈련 프로그램을 제작해 활용했다. 이를 통해 직업훈련 및 인사관리 등을 체계적으로 설계하고 인적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게 된 것으로 평가 받는다. 

오계택 박사는 “민간부문에서 실질적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의 인적자원관리가 이뤄지고 있다”며 “국가직무능력표준 도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민간부문에서 자체적으로 운용하고 있는 기존 제도와의 통합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선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박사는 ‘지속가능한 역량중심 고졸 취업문화 구축’을 주제로 고졸취업 현황, 국가직무능력표준 도입을 통한 역량 중심 직업교육, 지속가능한 역량중심 고졸 취업문화 구축을 위한 과제 등을 발표했다. 

특성화고 취업률이 2009년 16.7%에서 2013년 40.9%로 높아졌으며, 취업 직종도 과거 공업, 기계정비, 단순노동 등에서 상용직, 전문직, 관리직 등으로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고졸 취업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일 수준이 교육 수준에 비해 높다’고 답한 비율이 2011년 16.9%에서 2013년 26.5%로 높아졌다. 

이는 고졸 채용 확산에 따라 고졸 취업자의 업무 역량에 대한 기업의 요구와 기대가 높아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국가직무능력표준을 기반으로 한 특성화고의 직업교육 선진화가 요구된다. 

김선태 박사는 지속가능한 고졸 취업문화 구축을 위해 ▴중등직업교육의 현장성 강화 및 내실화 ▴기업 인사관리의 합리적 정비 및 직무·성과 중심의 임금제도 정비 ▴고졸자 일자리 기반 확대 ▴고졸 취업자의 직업 적응성 제고와 후진학 체계 정비 및 임금 보조 등을 제안했다. 

발표 내용에 대해 관련 전문가들은 다음과 같은 의견을 제시했다. 

김현수 순천향대학교 교수는 “노사정위원회 차원에서 국가역량체계를 논의할 필요가 있으며, 국가역량체계의 확산을 위한 추진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영민 숙명여자대학교 교수는 “노동시장을 중심으로 한 국가역량체계의 확산 방안과 취약계층 및 중·고령층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동배 인천대학교 교수는 “국가직무능력표준이 인적자원관리 전반에 연계될 경우 평가와 보상 부분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지만, 숙련급 또는 역량급은 기존 연공급의 훌륭한 대안이 될 수 있다” 

김주섭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현재는 기업을 대상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을 알리는데 집중하고 있는데, 앞으로는 국가직무능력표준 도입에 따른 기업 컨설팅과 비용 지원 등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우정호 유한공업고등학교 교사는 “현재의 고졸취업 정책은 고졸자의 취업 시점까지에만 한정돼 있다. 졸업 후 3년까지 학교에서 지원하고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조중기 성동공업고등학교 교감은 “고졸 취업자 가운데 상당수가 직업기초능력 부족으로 학교로 돌아오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국가직무능력표준을 활용해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을 기업에서 요구하는 수준으로 배양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주요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