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 시각] Multiculturalism in Antiquity 오랜 역사와 함께했던 다문화
상태바
[청소년의 시각] Multiculturalism in Antiquity 오랜 역사와 함께했던 다문화
  • 안소민 학생 (청심국제고 3학년)
  • 승인 2019.08.14 16: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청심국제고 3학년 안소민
청심국제고 3학년 안소민

 Serving as either a justification or a political euphemism, the term ‘multiculturalism’ is no doubt the center of scholarly debate nowadays.

As simple as the word may seem, multiculturalism is an ideology not a go-to description for a certain society or culture.

Multiculturalism has been both the death sentence for niche cultures that have been ‘disneyized’ to better fit modern standards, and the helping hand for encouraging diversification throughout people in history.

Clearly, many suppose this concept is a double- edged sword, which is understandable since multiculturalism comes hand in hand with identity politics and microsociology two controversial topics at the moment.

Some view multiculturalism with cynicism, stating that it is only a politically correct way to portray colonialism and imperialism.

Others argue that assimilation is inevitable, especially with globalization and the advent of mass media and transportation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However, multiculturalism has a more extensive history than one might expect.

Traces of multiculturalism and its cultural orientation have been found in the four earliest cradles of civilization: Mesopotamia, Egypt, China, and India.

One of the most extensive early societies however, bloomed during what is now called is ‘the classical age‘.

Ancient Greek society can be likened to a series of weak confederations.

City states, known as poleis, kept their own customs, identities, laws, and forms of government but visits and alliances were frequented.

The differences in each polis were apparent in various aspects of life, but this rarely hindered political communion in times of need.

It was not uncommon to see people from different poleis in one’s hometown, and trade made foreign influx more acceptable.

On a more factual note, Greco Persian historian Herodotus attempts to debunk the mysteries of the Persian War.

His travels now serve to showcase the cultural divergences along the archaic borders.

After the rise and fall of the multicultural Hellenic civilizations, new ethnicities such as the Romans, Jews, and Celtics emerged. These cultures meshed together time and time again out of conflict, and were multicultural nonetheless.

Multiculturalism is not a contemporary theory; history itself proves this repeatedly. Likewise, views on the topic of multiculturalism are still as multifaceted as they have been 3,000 years ago.

Quipped with its pros and cons, multiculturalism will continue to be ever the hot issue in the years to come.

 
정당화 혹은 정치적 순화역할을 하는 다문화주의는 현재 학문적 논쟁의 중심에 놓여 있다.

말 자체는 단순해 보이나, 특정 사회나 문화 전체를 설명할 수 없는 것이 다문화주의이다.

소수 민족이나 원주민 부족들과 같은 비교적 작은 사회에서 다문화주의는 현대사회의 기준에 맞춰 고유의 문화를 디즈니화시키고 변형하라는 사형 선고지만 역사 속 다양성을 장려하는 역할을 가지고 있다.

많은 사람은 다문화주의 개념이 정체성 정치학과 미시사회학에서 함께해야 이해할 수 있기에 양날의 칼이라고 생각한다. 이 순간에도 두 가지 학문은 논란이 많다.

몇몇은 다문화주의가 식민주의나 제국주의를 정치적으로 올바르게 포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말이라며 비판의 눈빛으로 바라본다.

다른 사람들은 세계화와 산업혁명 이후 대중매체와 교통의 발달로 인해 전 세계가 동화되는 것이 불가피하다고 한다.

그러나 다문화주의는 우리가 예상했던 것보다 더 광범위한 역사를 가진다.

다문화주의와 그 문화적 기원의 흔적은 메소포타미아, 이집트, 중국, 인도에 이르는 문명의 4대 요람에서 발견된다.

그러나 가장 광범위한 초기 사회 중 한 시기에 다문화의 꽃을 피웠는데 이 시기를 지금은 아테네 고전기라 말한다.

고대 그리스 사회는 일련의 약한 연합들이라고 비유할 수 있다.

폴리스로 알려진 도시 국가들은 그들만의 관습, 정체성, 법률, 그리고 정부의 형태를 유지하나 방문과 동맹이 자주 빈번했다.

각 폴리스는 삶의 다양한 방면에서 차이점이 있지만 정치적 교감을 할 때 방해되지 않았다.

무역 때문에 외국 유입이 더 자연스러워서 한 폴리스에서 다른 폴리스 출신 사람들을 보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었다.

사실 그리스계 페르시아인 역사학자 헤로도토스는 페르시아 전쟁의 미신을 틀렸음을 폭로하려고 시도했다.

헤로도토스의 여행은 지금 고대 국경을 따라 문화적 차이를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다문화의 특성을 가진 헬레니즘 문명의 흥망 이후 로마인, 유대인, 켈트 족과 같은 새로운 민족이 등장한다. 이들의 문화는 갈등을 거쳐 시간과 함께 다문화를 빚어냈다.

다문화주의는 현대의 이론이 아니며 이는 역사를 통해 반복적으로 증명된 것이다. 이처럼 다문화주의에 대한 견해는 3,000년 전만큼이나 방대하다.

찬성과 반대의 견해가 동반되어 앞으로 계속 뜨거운 논쟁거리가 될 것으로 본다.

 

 

편집 : 김소은 기자



주요기사
많이 본 뉴스